[마켓파워] 삼성전자 역대급 실적에도 특별배당 무소식…김빠진 주주들

박지은 기자 기사승인 2022. 02. 24. 18:20

  • 카카오톡 링크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주소복사
  • 기사프린트
  • 글자 작게
  • 글자 크게
최근 3년 주기 주주환원정책 마련
정책 마지막해, 금액 확 키워 지급
내년 '통큰 특별배당' 기대감 커져
오너가 상속세 재원 마련에도 촉각
당분간 현재 배당패턴 이어갈 가능성
basic_2022
마켓파워 로고
삼성전자가 지난해 특별배당을 발표하지 않으면서 주주들의 실망이 커지고 있다. 매출 279조6000억원, 영업이익 51조6300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면서 2년 연속 특별배당을 기대한 이들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삼성전자의 최근 7년 배당 흐름을 분석해보면 ‘2021~2023년 주주환원정책’의 마지막 해에 잔여재원을 특별배당으로 지급할 가능성이 높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포함한 오너 일가의 상속세 납부 시점까지 한 차례 더 특별배당이 나올 것으로 점쳐진다.

2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9조8094억원을 배당했다. 특별배당을 시행했던 2020년(20조3380억원)보다 51% 감소했다.

배당은 오롯이 기업이 판단할 몫이지만 특별배당을 기대했던 주주들은 실망한 눈치다. 삼성전자가 보통주 361원, 우선주 362원을 지난해 4분기 배당금으로 공시하자 ‘올해는 특별배당이 없냐’는 문의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 4분기 지급한 특별배당을 제외하면 2021년 연간 배당금도 소폭 늘었지만, 주주들의 눈높이가 높아진 탓이다.

삼성전자의 최근 7년간 배당 흐름을 분석해보면 특별배당은 오는 2023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015~2017년, 2018~2020년 주주환원정책을 시행한 마지막 해에 배당 액수가 두 배가량 커지는 흐름이기 때문이다. 잔여 재원을 쌓아뒀다가 마지막 해에 일시에 지급하는 패턴이다.

먼저 2015년 10월 발표한 주주환원정책 시행 기간은 2017년까지 총 3년이었다. 삼성전자는 당시 11조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 후 소각해 주가부양을 꾀하겠다고 밝혔다. 자사주 매입과 배당에 쓸 재원은 잉여현금의 30~50%를 활용했다. 삼성전자는 주주환원정책 마지막 해였던 2017년 우선주 기준 851원을 배당했다. 직전해 배당한 주당 451원의 두 배에 가까운 금액이다.

삼성전자는 2017년 10월 다시 주주환원정책을 내놨다. 시행 기간은 2018~2020년으로 정했다. 2차 주주환원정책은 배당규모 9조6000억원으로 확정, 연간 잉여현금의 50% 활용, 잔여재원의 추가 배당을 골자로 했다. 삼성전자는 2018년과 2019년 우선주 기준 1417원을 각각 배당하고 마지막 해였던 2020년 1주당 2995원을 배당했다. 2020년 4분기 특별배당금 1578원을 지급한 덕분이다. 4분기 배당금만 1932원에 달했다.

삼성전자는 작년 10월 2021~2023년 시행할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했다. 이번 정책은 배당 규모 9조8000억원으로 상향, 잉여현금의 50% 환원 유지, 잔여재원 발생시 추가 환원 가능 등이다. 2017~2020년 정책과 유사하지만 배당 규모가 2000억원가량 커졌다. 삼성전자는 2021년 우선주 기준 1445원을 배당하며, 세 번째 주주환원정책의 스타트를 끊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삼성전자를 포함한 오너 일가 지분이 높은 계열사들이 당분간 주주환원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주주들의 환원 요구와 오너일가의 재원 확보 필요성이 맞물리기 때문이다. 오너일가는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이 남긴 유산에 대한 상속세를 앞으로 5년간 6회에 걸쳐 납부해야 한다. 유족들이 납부할 상속세는 약 12조원으로, 올해 기준 남은 금액은 약 10조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족들이 보유 주식 일부 매각, 주식담보대출 등 여러 재원 마련 방편을 쓰고 있지만 배당금도 그 중 일부다.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의 삼성전자 지분은 1.97%, 이재용 부회장은 1.63%, 이부진·이서현 자매는 각각 0.93%를 보유하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의 지분율이 큰 삼성물산(17.97%), 삼성생명(10.44%), 삼성SDS(9.20%) 등도 당분간 높은 배당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향후 주주환원정책 강화는 오너와 주주의 이해가 일치하는 지점”이라고 분석했다.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