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파워]부실덩어리 포스코플랜텍, 권오준 회장 책임론 급부상?

박병일 기자 기사승인 2015. 09. 18. 06:00

  • 카카오톡 링크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주소복사
  • 기사프린트
  • 글자 작게
  • 글자 크게
포스코 3분기 실적, 포스코플랜텍 부실채권 충당금 1000억원 반영될 듯
정준양 전 회장 책임론에 권 회장 책임론까지
취임초기 포스코플랜텍 미온적 대처와 수천억대 자금 지원실패 부담
Print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취임 직후 그룹 부실 계열사로 낙인 찍힌 포스코플랜텍을 과감히 개혁하지 못한 데 대한 책임론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이 포스코플랜텍의 전신인 성진지오텍을 인수할 당시부터 부실덩어리였던 이 기업에 대해 권 회장이 수천억의 유상증자를 하고도 경영정상화에 실패한데다 부실채권에 대해 1000억원대의 충당금을 3분기 실적에 반영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 전 회장에게 쏠려 있던 책임론이 권 회장에게까지 번지는 모습이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포스코의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채권 6355억원, 기타채권 4063억원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반영했다. 개별재무제표 기준으로 대손충당금이 각각 87억원과 105억원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계열사로 인한 재무적 부담을 가늠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올해 3분기 포스코플랜텍 부실 채권에 대한 1000억원 수준의 대손충당금은 환손실 및 신일철주금과의 소송 합의금 이슈 등과 맞물려 당기순손실을 수천억원대로 늘릴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당초 업계는 포스코플랜텍 부실채권으로 인한 손실규모를 500억원 수준으로 평가했다.

포스코플랜텍에 대한 재무적 부담이 한층 커지면서 재계는 권 회장이 취임 당시 포스코플랜텍 처리를 안이하게 한 것을 가장 큰 오판으로 지적하고 있다. 그룹의 개혁을 앞세웠던 권 회장이 가장 큰 환부를 도려내지 않았다는 것이다.

지난해 3월 권 회장이 취임한 직후 재계에서는 포스코플랜텍에 대한 합병이나 지분 매각을 예상했었다. 정 전 회장이 인수했던 성진지오텍의 부실을 해결하기 위해 (구)포스코플랜텍과의 합병 카드를 꺼내 들었지만 적자 폭은 더욱 커졌고, 부채비율은 급등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실제 권 회장이 포스코 회장으로서 첫 경영평가를 받았던 지난해 2분기 기준으로 포스코플랜텍의 부채비율은 619.5%를 기록했고, 3분기에는 736.6%까지 상승했다. 당시 예상됐던 시나리오는 포스코플랜텍의 육상플랜트 사업부문을 떼내 포스코건설과 합병하거나 지분을 매각하는 방식이 유력했다.

하지만 재계의 예상과 달리 권 회장은 유상증자 카드를 꺼내 들며 포스코플랜텍 살리기를 선택했고,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격이라며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권 회장은 지난해 12월 포스코플랜텍의 2900억원 규모 유상증자에 포스코와 포스코건설을 참여시켰고, 포스코만 2400억원을 출자했다. 직원 감축 등 자구노력을 하던 포스코플랜텍은 포스코의 유상증자로 부채비율을 245.6%까지 낮추는데 성공했지만 해양플랜트 시장 침체가 지속되며 실적은 다시 악화됐다. 올해 들어서는 대출원리금상환을 못하는 최악의 상황이 반복되면서 결국 지난 5월 재무구조 개선 및 경영정상화 목적으로 채권금융기관공동관리(워크아웃)를 신청한 상태다.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성진지오텍을 인수한 정 전 회장에 대한 책임론뿐 아니라 권 회장에 대한 책임론까지 불거지고 있다. 특히 권 회장이 정 전 회장과의 관계 때문에 포스코플랜텍을 과감히 정리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일부 투자자들에게서 나오고 있다. 권 회장이 취임 이후 그룹내에서 정 전 회장의 색을 빼기 위한 조직개편, 사업 정리 등을 실시했지만 정작 정 전 회장과 직결되는 대우인터내셔널·포스코플랜텍 등의 처리는 미온적이었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권 회장이 정 전 회장 당시 연관된 사업들이 많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며 “포스코플랜텍의 경우 과감한 정리를 하지 않으면서 이런 의구심을 더욱 키운 결과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더욱이 정 전 회장이 성진지오텍 문제로 검찰 수사를 받는데 맞춰져 있던 그룹 부실 책임론이 권 회장으로 넘어올 가능성도 있어 권 회장의 부담을 키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